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트럭 탑재형 크레인의 안전 장치

크레인

by blesslyl 2025. 3. 18. 10:53

본문

트럭 탑재형 크레인 용어의 정리

 

1. 이 지침에서 사용 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가) '트럭 탑재형' 이라 함은 이동식 크레인의 한 종류로서 불특정 장소에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으로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 (수평 또는 선회를 말한다)로 운반하는 설비로서 [자동차 관리법] 제3조에 따른 화물, 특수자동차의 작업부에 탑재하여 화물을 적재, 하역 등에 사용하는 크레인을 말한다.

 

(나) '정격하중'이라 함은 최대하중에서 훅, 슬링 등의 달기기구의 중량을 제외한 것으로 실제로 인양 가능한 중량이며, '최대하중'은 슬링 등의 달기기구의 중량을 포함하여 최대 인양할 수 있는 중량을 말한다.

 

(다) '지브(붐)' 라 함은 차대에 연겯뢰어 훅을 필요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기둥모양의 구조물을 말한다.

 

(라)'훅'이라 함은 물건을 걸거나, 끌어당기기 위한 갈고리로 인양 와이어로프를 거는 장치를 말한다.

 

(마) '권상, 권하'라 함은 권상이란 화물을 달아 올리는 것을 말하고, 권하란 화물을 내리는 것을 말한다.


2. 그 밖의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이 지침에서 특별히 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산업안전보건법, 같은 법 시행령, 같은 법 시행규칙, 산업안전보건규칙 및 고시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트럭 탑재형 크레인의 주요 명칭 ( 출처 : 산업안전보건공단 트럭 탑재형 크레인 안전보건작업지침 )

 트럭 탑재형 크레인의 안전 장치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1. '권과방지장치'라 함은 인양용 와이어로프의 일정한계 이상 감기게 되면 자동적으로 동력을 차단하고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서 훅이 상부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며, 훅이 최상부에 도달하기 전에 경보음과 함께 작동이 정지되는지 점검하여야 한다.


2. '과부하방지장치'라 함은 정격하중 1.1배 이상의 권상하중이 부하 되었을 때 경보와 함께 자동적으로 상승이 정지되는 장치이며, 안전인증기준에 의한 안전인증 (구 검정기관)을 받은 제품 인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3. '비상정지장치' 라 함은 비상시 동력을 차단하여 크레인을 정지시키는 장치이며, 버튼을 누르면 트럭 탑재형 크레인의 동력이 차단되는지 점검하여야 한다.


4. '훅해지장치' 라 함은 훅으로 부터 줄걸이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훅에 설치된 개폐 장치 이며, 훅해지가 원활하게 작동하는지 점검하여야 한다.


5. '하중지시계'라 함은 붐의 최 하단에 부착된 경사지시계로 붐의 인출 길이와 각도에 따라 허용하중을 확인할 수 있는 지시장치이다.


6. '붐 회전방지장치' 라 함은 주행 시 크레인 상부 회전체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장치이다.


7. '아웃트리거'라 함은 전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장비의 좌우에 부착하여 전도 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며, 아웃트리거 용접부의 균열 및 실린더 작동이 원활하게 작동되는지 점검하여야 한다.


트럭 탑재형 크레인 안전 작업 절차

 

(1) 사용 계획 수립 및 검토

 

(2) 트럭 탑재형 크레인 설치

 

(3) 인양 작업 실시

 

(4) 작업 종료

관련글 더보기